날짜 | 시간계획 | 프로그램 | ||||||
---|---|---|---|---|---|---|---|---|
10.7(목) |
|
언어 산업 전시회 특별 강연 | ||||||
|
언어 산업 전시회 포럼 발표 | |||||||
|
휴식 | |||||||
|
언어 산업 전시회 포럼 토론 | |||||||
10.8(금) |
|
식전 안내 | ||||||
|
개회 선언 | |||||||
|
국민의례 | |||||||
|
주제 영상 상영 | |||||||
|
축하공연 | |||||||
|
귀빈 소개 | |||||||
|
환영사 | |||||||
|
한글발전유공 시상 세종문화상 시상 |
|||||||
|
기조 강연 1 한국어, 한국 문학, 한국 문화의 미래 예측 |
|||||||
|
장내 정리 | |||||||
|
기조 강연 2 세종의 꿈, 인공지능이 꽃피운다 |
|||||||
|
개회식 마무리 | |||||||
|
휴식 | |||||||
|
[발표01] (형태론·통사론) 새로운 언어 현상에 접근하다 |
[발표02] (의미론·화용론) 한국어의 의미와 화용 |
[발표03] (문학번역) 한국문학 번역의 지평 확대 |
[집담회01] (국어교육) 미래형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론 |
[집담회02] (한국어 문화 교육) 신한류 시대 한국어 문화 교육 방법론 -내용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
|||
|
휴식 | |||||||
|
||||||||
|
[발표04] (한국어 교육) 신남방 한국어 교육 현황 |
[발표05] (한국어 교육(국어원))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한국어 교육 현황 |
[집담회03] (통번역) 자동 통번역 시대의 통번역 |
[집담회04] (언어정보학) 인공지능을 위한 주석 말뭉치 |
[집담회05] (국어정책(국어원)) 언어의식과 국어정책 |
|||
10.9(토) |
|
[발표06] (음운론ㆍ음성학) 음운론ㆍ음성학의 현황과 과제 |
[발표07] (사회언어학ㆍ방언학) 한국 사회의 변동과 한국어의 미래 |
[발표08] (멀티미디어번역)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멀티미디어 번역 |
[발표09] (한국어 교육(세종학당)) 한국어 교육의 미래 -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
[발표10] (국어교육) 문식 환경 변화와 국어 문해력 |
||
|
휴식 | |||||||
|
[발표11] (사전학) 사전의 미래를 말하다 |
[발표12] (국어사) 국어사의 지평을 넓히다 |
[발표13] (번역과 사회학) 번역과 사회, 번역과 제도 |
[집담회06] (한국어 교육 정책) 한국어 교육 정책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집담회07] (국어교육)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국어 문해력 교육의 대응 전략 |
|||
|
휴식 | |||||||
|
스탠바이 및 참가자 입장 | |||||||
|
식전안내 | |||||||
|
폐회 영상 | |||||||
|
폐개회 통보 | |||||||
|
공모전 수상소감 인터뷰 | |||||||
|
폐회사 | |||||||
|
폐회 선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