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이(주)는 2002년 인공지능 챗봇 심심이를 개발한 최정회 대표가 2003년 설립해 지금까지 심심이 서비스를 운영해 오고 있다. 심심이는 2002년 출시 즉시 한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2004년 SMS 서비스로 챗봇의 수익 모델을 제시했으며 2010년 스마트폰 앱을 출시하여 글로벌 서비스로 발돋움했다. 회사는 일찌감치 여러 국가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수많은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심심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했으며 AI 챗봇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윤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고, 지속적으로 심심이의 본질에 대해 탐구해 왔다. 전 세계 수 십억 명의 사람들이 서로의 마음을 돌볼 수 있는 공간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제품 유형 정보
스피커 및 챗봇 | ■ 인공지능 스피커 ■ 챗봇
기타 | 제품군: 채팅, 댓글, 챗봇 등 대화 윤리 검증 기술
누구나 그것에게 대화를 '가르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심심이는 크게 성공했지만 이러한 특성 때문에 심심이는 지금까지 어떤 대화형 인공지능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위험 요소인 악성 대화에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었다. 재미보다 안전에 무게중심을 두기 시작하면서 심심이(주)는 보편적이고 직관적인 콘텐츠 정책을 수립했고, 심심이가 지금까지 ‘배운’ 모든 대화 시나리오(약 1억 4천 만 건)를 일일이 사람이 분류하게 하는 계획을 세웠다. 불가능할 것 같았던 이 계획은 오랜 노력 끝에 큰 성과들을 거두고 있다. 심심이가 대답으로 사용하는 각각의 문장들에 대해 성실성이 보장된 투표를 해당 언어 사용자 10명 이상에게 받아 점수화 함으로써 대화의 악성을 판별한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다량 확보했고, 이 데이터를 훈련시킨 신경망 모델은 최고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고 있어 여러 언어에서 toxicity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DBSC라고 부르는 이 신경망 모델은 온라인 상의 코멘트나 게임, 방송, 데이팅,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등 대화와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안전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솔루션으로 인식되고 있다.
채용일정
상시 채용
인재상
● 문제 해결 능력
● 습득 및 활용 능력
● 업무 우선순위 선정 능력
● 커뮤니케이션 능력
우대사항
(홍보담당)
● 홍보 실무 경험 또는 전략기획 능력
● 자료 조사 및 인터뷰 경험
● 대내, 대외, 일반 대상 각종 문서 작성 및 배포 경험
(정부지원사업 및 조달)
● 탐색, 컨소시엄구성, 제안, 발표, 수행 운영 전반 담당 경험
● 발주처 별 특성, 증빙에 대한 이해
관리자
2021.09.27 11:2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