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
한국어 평가를 통한 한국어 교육 진흥 방안 |
|
[2-02] |
한국문화교육 교육과정과 교수법 |
|
[2-03] |
국내 다문화 상황과 교육 지원 방안 |
|
[2-04] |
문화권별 한국어교육 |
|
[2-05] |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의 수용과 확장 |
|
[2-06] |
한국어 교육의 제3의 물결 |
|
[2-07] |
영어 평가의 방법과 실제 |
|
[2-08] |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지평: 매체전략과 한국어 교육의 심화 확장 |
|
[2-09] |
다중언어현상과 한국어 교육 |
|
[2-10] |
교수 요원의 양성 방안 점검 및 개선방안 |
|
[2-11] |
중국어 평가의 방법과 실제 |
|
[2-1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과 공공번역 |
|
[2-14] |
K-culture 4.0 정의와 문화 발전방향 |
|
[2-15] |
문화대조와 한국문화교육 |
|
[2-16] |
한국어교육과 교사말 |
|
[2-17] |
한국어 교육의 경계를 찾아 |
|
[2-18] |
한국어 교육과 학습자 변인 |
|
[2-19] |
한국어교육에서 온라인 평가의 새로운 모형: 자가 평가 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
|
[2-20] |
세종학당재단 한국어 숙달도 평가 개발 및 운영 방향 |
|
[2-21] |
KSL교육 과정과 교육 현장에서의 평가 |
|
[2-22] |
권역별 한국어 평가 기준현황과 공유방안 |
|
[2-23] |
한국어 능력 평가의 목적별 평가 방안 |
|
[2-24] |
해외 대학에서의 한국어와 한국학 연계 교육방안 |
|
[2-25] |
온라인기반 한국어 평가 도구 개발 방향 |
|
[2-26] |
고등학교 국어교육 내용과 대학수학능력 평가의 언어 영역 점검 |
|
[2-27] |
목적별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안 |
|
[2-28] |
한국어 말하기, 쓰기, 평가 채점자 양성 방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