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과 |
백제1 |
09:30~11:30 |
집담회 |
[1-10] 화용론의 세계적 동향과 한국어 연구 현황
*김일규(강원대), 손성옥(미국 유시엘에이), 천 신런(중국 난징대), 마리나 터코라피(네덜란드 레이던대), 권익수(한국외대), 노은주(인하대), 이혜경(아주대) |
 |
백제2 |
발표 |
[1-12] 시각언어 수어의 공간성과 도상성
*정호성(국립국어원), 이영재(전주선화학교), 홍성은(한국복지대), 정한데로(가천대), 김연우(고려대), 이현숙(수어통역사), 배재만(수어통역사), 명혜진(수어통역사) |
 |
백제3 |
집담회 |
[1-11] 문자론 연구의 현황과 전망
*장윤희(인하대), 연규동(경성대 한자연구소), 이용(서울시립대), 존 휘트먼(미국 코넬대) |
 |
백제4 |
집담회 |
[1-13] 한국어 형태론의 쟁점들
*구본관(서울대), 에바타(일본 나가타대), 최형용(이화여대), 김양진(경희대), 이성하(한국외대) |
 |
2분과 |
백두4 |
09:00~10:30 |
집담회 |
[2-22] 권역별 한국어 평가 기준현황과 공유방안
*이정희(경희대), 이준호(경인교육대), 김경선(국립국제교육원), 변우영(미국 오하이오주립대),전영근(중국 광동외어외무대), 남윤진(일본 동경외대), 니콜라 프라스키니(호주 서호주대), 또미쉬호락(체코 까렐대) |
 |
백두4 |
09:00~10:00 |
집담회 |
[2-23] 한국어 능력 평가의 목적별 평가 방안
*원미진(연세대), 김선정(계명대), 한송화(연세대), 강사희 (미국 미들베리대), 김희선 (미국 스탠포드대) |
 |
10:00~11:00 |
집담회 |
[2-26] 고등학교 국어교육 내용과 대학수학능력 평가의 언어 영역 점검
*정진석(강원대), 박영민(한국교원대), 조하연(아주대), 박종훈(부산교육대), 신명선(인하대),이상호(EBS 학교 교육본부), 장지혜(신림고) |
고구려2 |
09:00~10:00 |
집담회 |
[2-24] 해외 대학에서의 한국어와 한국학 연계 교육방안
*홍윤기(경희대), 김지형(경희사이버대), 김은영(미국 듀크대), 윤상철(멕시코 나야리트대), 쩐 티 흐엉(하노이국립외대), 마렉(체코 찰스대), 배규범(중국 화중사범대) |
 |
10:00~11:00 |
집담회 |
[2-27] 목적별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안
*오광근(성균관대), 정명숙(부산외대), 유승금(한림대), 오정선미(미국 드렉셀대학교),김태진(삼육보건대), 노선주(프랑스 디종한글학교), 이인숙(법무부 출입외국인지원센터),김재욱(한국외대) |
고구려3 |
09:00~10:00 |
집담회 |
[2-25] 온라인기반 한국어 평가 도구 개발 방향
*박진욱(대구가톨릭대), 김성숙(연세대), 노정은(한성대), 이선영(고려사이버대) |
 |
10:00~11:00 |
집담회 |
[2-28] 한국어 말하기, 쓰기, 평가 채점자 양성 방안
*원미진(연세대), 윤영(호남대) |
3분과 |
고구려1 |
09:30 ~ 09:55 |
강연 |
[3-6] 한글, 펼침2 |
자동차 산업에서 필요한 자연어처리 기술
김준석(현대자동차) |
 |
09:55 ~ 10:20 |
강연 |
한국어 On-device 음성 받아쓰기 기능
정석영(삼성전자) |
10:20 ~ 10:45 |
강연 |
현대 한국어 자연어처리를 위한 대규모 AI 학습데이터(KorQuAD) 구축기
이주열(LG CNS AI빅데이터연구소) |
10:45 ~ 11:10 |
강연 |
기계 번역의 발전현황과 가능성- SK텔레콤 내 영문 현지화(Localization) 경험을 중심으로
송인지(SK텔레콤) |
11:10 ~ 11:35 |
집담회 |
종합토론
*이찬규(중앙대), 신효필(서울대), 송상헌(고려대) |
공통 |
11:50~13:00 |
폐회식 |
폐회식 |
 |